맨위로가기

1986년 한국프로야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한국프로야구는 삼성 라이온즈가 통합 우승을 차지한 시즌이다. 삼성 라이온즈는 전기 리그 1위, 통합 순위 1위를 기록했고, 해태 타이거즈가 통합 2위를 차지했다. 주요 기록으로는 선동열(해태 타이거즈)의 MVP 수상, 김건우(신인왕), 김무종(올스타전 MVP), 김정수(한국시리즈 MVP) 등이 있으며, 팀별 타율, 평균자책, 득점, 실점, 홈런 개수 등의 기록이 나타나 있다. 1986년 시즌 총 관중은 2,141,112명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야구 - 1986년 일본 시리즈
    1986년 일본 시리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세이부 라이온스가 맞붙어 세이부가 4승 3패 1무로 3년 만에 통산 6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구도 기미야스가 시리즈 MVP를 수상했고, 퍼시픽 리그 팀 홈 경기에서 지명타자 제도가 적용되지 않았다.
  • 1986년 야구 - 1986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86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3차전에 걸쳐 맞붙은 올스타전 시리즈로, 각 경기 MVP는 야마모토 가즈노리, 기요하라 가즈히로, 요시무라 사다아키가 수상했다.
  • KBO 리그 시즌 - 2017년 KBO 리그
    2017년 KBO 리그는 FA 제도 개편, 감독 교체, 비디오 판독 시스템 개선 등 변화 속에서 KIA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선빈의 고타율, 최정의 홈런 및 장타율, 러프의 타점, 피어밴드의 평균자책점 등 주요 기록들이 나왔다.
  • KBO 리그 시즌 - 2000년 한국프로야구
    2000년 한국프로야구는 현대 유니콘스가 우승하고 매직리그와 드림리그로 나뉘어 정규시즌이 진행되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통합 1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 KBO 리그 - 키움 히어로즈
    키움 히어로즈는 2008년 창단하여 KBO 리그에 참가하는 프로야구단으로, 네이밍 스폰서십을 통해 운영되며 서울 고척 스카이돔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정규 시즌 2위 3회와 한국시리즈 준우승 3회를 기록했다.
  • KBO 리그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창단되어 1982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야구팀으로,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KBO 리그에서 인기 있는 팀 중 하나이다.
1986년 한국프로야구
1986년 한국프로야구
KBO 리그 로고
KBO 리그 로고
개막일1986년 3월 29일
폐막일1986년 10월 8일
리그 우승 팀해태 타이거즈
한국시리즈 우승 팀해태 타이거즈
정규 리그 MVP선동열 (해태)
한국시리즈 MVP김정수 (해태)
참가 구단 수7
경기 수팀당 108경기 (총 378경기)
관중 수1,463,847명
평균 관중 수3,873명

2. 1986년 프로야구 순위

1986년 한국프로야구는 전반기(전기)와 후반기(후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팀은 총 108경기를 치렀다.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의 성적을 합산하여 통합 순위를 결정하였다.

bgcolor="#ACE1AF"|전·후기 모두 1위 또는 2위 (한국시리즈 직행)
bgcolor="#E8FFD8"|전·후기 중 한 번만 1위 또는 2위 (플레이오프 진출)



통합 순위, 전기 리그 순위, 후기 리그 순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통합 순위

순위경기승률승차기타
1삼성 라이온즈108701370.6540.0
2해태 타이거즈108674370.6441.5
3MBC 청룡108598410.5906.0
4OB108564480.53811.0
5롯데 자이언츠108506520.49016.0
6청보 핀토스108322740.30236.0
7빙그레108311760.29037.5



bgcolor="#ACE1AF"|전·후기 모두 1위 또는 2위 (한국시리즈 직행)
bgcolor="#E8FFD8"|전·후기 중 한 번만 1위 또는 2위 (플레이오프 진출)


2. 2. 전기 리그 순위

순위경기승률기타
1삼성54390150.722
2해태54342180.654
3롯데54304200.600
4MBC54284220.560
5OB54232290.442
6청보54170370.315
7빙그레54120420.222


2. 3. 후기 리그 순위

보기
width="30px" bgcolor="#CCF3FF"|1위 또는 2위 (포스트시즌 진출)



순위경기승률기타
1OB54332190.635OB해태의 승률이 같아 순위결정전을 하여 1위 등극
2해태54332190.635OB와 승률이 같으나 순위결정전에 져서 2위로 시즌 마감
3MBC54314190.620
4삼성54311220.585
5롯데54202320.385
6빙그레54191340.358
7청보54152370.288


3. 1986년 팀별 기록 순위

MBC (37개)


3. 1. 팀별 타율 순위

순위타율
1삼성0.276
2MBC0.265
3해태0.259
4OB0.249
5롯데0.248
6빙그레0.236
7청보0.219


3. 2. 팀별 평균자책 순위

순위평균자책점
1OB2.61
2롯데2.74
3MBC2.79
4해태2.86
5삼성2.95
6빙그레3.65
7청보3.99


3. 3. 팀별 득점 및 실점

1986년 한국프로야구 각 팀의 득점과 실점은 다음과 같다.

1986년 팀별 득점 순위
순위경기득점기타
1삼성108475작년 팀 득점 1위 (552점)
2해태108474작년 팀 득점 2위 (483점)
3MBC108434작년 팀 득점 3위 (473점)
4롯데108373작년 팀 득점 4위 (426점)
5OB108369작년 팀 득점 5위 (416점)
6빙그레108333작년 팀 득점 6위 (345점)
7청보108318



1986년 팀별 실점 순위
순위경기실점기타
1OB108341작년 팀 실점 1위 (379점)
2롯데108360작년 팀 실점 2위 (408점)
3MBC108361작년 팀 실점 3위 (416점)
4삼성108369작년 팀 실점 4위 (420점)
5해태108372작년 팀 실점 5위 (465점)
6빙그레108467작년 팀 실점 6위 (607점)
7청보108506


3. 4. 팀별 홈런 개수

1986년 팀별 홈런 개수
순위홈런
1해태99개
2삼성74개
3청보66개
4빙그레46개
5OB38개
공동 6롯데37개
공동 6MBC37개


4. 1986년 주요 기록

1986년 시즌에는 해태 타이거즈선동열이 특정팀 상대 연속이닝 무실점, 연속이닝 무실점, 시즌 최다 완봉승 기록을 세웠다. 빙그레 이글스의 이상군은 최장 무사4구 투구 횟수와 시즌 최다 무사4구 경기 기록을 세웠고, 삼성 라이온즈김성래는 연타석 2루타, 롯데 자이언츠김정행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삼성 라이온즈손상득은 포수로서 시즌 최소 실책을 기록했으며, 빙그레 이글스의 장명부는 한 시즌 최다 연패를 기록했다.

4. 1. 개인 기록

기록날짜선수소속팀상대팀기타
연타석 2루타1986.4.19~1986.4.20김성래삼성빙그레4타석 연속 2루타
한 시즌 최다 연패1986.4.1~1986.7.26장명부빙그레15연패
특정팀 연속이닝 무실점1986.5.25~1988.4.2선동열해태삼성42이닝 무실점
노히트 노런1986.6.5김정행롯데빙그레사직 구장에서 달성
최장 무사4구 투구 횟수1986.6.8~1986.7.8이상군빙그레48 1/3이닝
연속이닝 무실점1986.8.27~1987.4.12선동열해태49 2/3이닝
시즌 최다 완봉승1986선동열해태8번
시즌 최다 무사4구 경기1986이상군빙그레7번
시즌 최소 실책(포수)1986손상득삼성1번


4. 2. 팀 기록

기록날짜선수소속팀상대팀기타
연타석 2루타1986.4.19~1986.4.20김성래삼성빙그레4타석 연속 2루타
한 시즌 최다 연패1986.4.1~1986.7.26장명부빙그레15연패
특정팀 연속이닝 무실점1986.5.25~1988.4.2선동열해태삼성42이닝 무실점
노히트 노런1986.6.5김정행롯데빙그레사직 구장에서 달성
최장 무사4구 투구 횟수1986.6.8~1986.7.8이상군빙그레48 1/3이닝
연속이닝 무실점1986.8.27~1987.4.12선동열해태49 2/3이닝
시즌 최다 완봉승1986선동열해태8번
시즌 최다 무사4구 경기1986이상군빙그레7번
시즌 최소 실책(포수)1986손상득삼성1번


5. 1986년 최고 기록

1986년 시즌 투수 부문에서는 선동열 (해태)이 최다 승리, 최우수 평균 자책, 최다 탈삼진을 기록하며 3관왕을 차지했다. 김용수 (MBC)는 최우수 구원 및 최다 세이브를 기록했다. 타자 부문에서는 장효조 (삼성)가 최고 수위타자와 최고 출루율을, 김봉연 (해태)은 최다 홈런, 최다 타점, 최고 장타율을 기록했다. 이광은 (MBC)은 최다 안타, 김재박 (MBC)은 최다 득점, 서정환 (해태)은 최다 도루를 기록했다.

5. 1. 투수 부문 최고 기록

기록선수소속팀기타
최다 승리 투수선동열해태24승(17선발승) 6패
최우수 평균 자책선동열해태평균자책: 0.99
최다 탈삼진선동열해태탈삼진: 214개
최우수 구원김용수MBC구원승 6승+세이브 26세이브=SP 35
최다 세이브김용수MBC26세이브


5. 2. 타자 부문 최고 기록

기록선수소속팀기타
최고 수위타자장효조삼성타율: 0.329
최다 안타이광은MBC안타: 124개
최다 홈런김봉연해태홈런: 21개
최다 타점김봉연해태타점: 67점
최다 득점김재박MBC득점: 67점
최다 도루서정환해태도루: 43개
최고 장타율김봉연해태장타율: 0.514
최고 출루율장효조삼성출루율: 0.436


6. 1986년 수상 내역

연도MVP신인왕올스타전 MVP한국시리즈 MVP
1986선동열김건우김무종김정수


6. 1. 정규 시즌 MVP

선동열이 정규 시즌 MVP를 수상하였다.

6. 2. 신인왕

1986년 한국프로야구 신인왕은 MBC 청룡의 투수 김건우였다.[1]

6. 3. 올스타전 MVP

올스타전 최우수선수(MVP)는 해태 타이거즈김무종이 선정되었다.[1]

6. 4. 한국시리즈 MVP

1986년 한국시리즈 최우수 선수(MVP)는 해태 타이거즈의 투수 김정수였다.[1]

7. 1986년 골든 글러브 수상자

투수포수1루수2루수3루수유격수외야수외야수외야수지명타자
선동열이만수김성한김성래한대화김재박이광은김종모장효조김봉연


8. 1986년 한국프로야구 관중 현황

1986년 시즌 총 관중 수는 214만 1112명이었다. 구단별 관중 수는 다음과 같다.

구단명관중 수
롯데523,082명
MBC367,690명
해태307,814명
OB293,357명
삼성274,050명
빙그레198,577명
청보176,542명


9. 1986년 진기록 명기록

1986년 진기록 명기록
기록날짜선수소속팀상대팀기타
연타석 2루타1986.4.19~1986.4.20김성래삼성빙그레4타석 연속 2루타
한 시즌 최다 연패1986.4.1~1986.7.26장명부빙그레15연패
특정팀 연속이닝 무실점1986.5.25~1988.4.2선동열해태삼성42이닝 무실점
노히트 노런1986.6.5김정행롯데빙그레사직 구장에서 달성
최장 무사4구 투구 횟수1986.6.8~1986.7.8이상군빙그레48 1/3이닝
연속이닝 무실점1986.8.27~1987.4.12선동열해태49 2/3이닝
시즌 최다 완봉승1986선동열해태8번
시즌 최다 무사4구 경기1986이상군빙그레7번
시즌 최소 실책(포수)1986손상득삼성1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